3인 5시간 셋을 2인 3시간으로 쳤다.
셋은 BAPC 2019를 사용하였다.
내가 뒤, slah007 선배가 앞을 보고 시작했다.
~0:07
브론즈 문제인 J와 B를 풀었다. J는 안쓰던 컴이라 괜히 int 썼다가 오버플로우로 한 번 틀렸다.
~0:30
H AC를 받았다. \(10^8\)짜리 풀이인데 63ms에 돌아서 신기했다.
~0:50
slah007 선배가 오래 잡고 있던 E를 맞았다. 약간 귀찮은 DP인 것 같았다.
~0:55
slah007 선배의 E와 번갈아 내가 코딩을 하던 A를 맞았다.
~1:08
그리고 F를 봤는데 많이 본 유형이라 그냥 슥슥 풀었다. slah007 선배는 귀찮은 구현 문제인 G를 잡았다.
~1:57
slah007 선배가 G를 맞았다. 나는 I, K, L를 잡고 있었는데, 아무것도 모르겠어서 절망에 빠졌다.
~2:37
slah007 선배한테 I를 넘기고 대충 지금까지 한 관찰을 설명드렸더니 될 것 같다면서 가져가셨다. 이후 몇 번의 WA 끝에 AC.
문제별 요약
A (P3, solved by leo020630) : 대충 그리디한 방법을 하나 찍은 후 잘 구현해주면 된다. 이왜플3
B (B3, solved by slah007) : 그냥 홀짝 판별만 하면 된다.
C (D4, Not solved) : 슬쩍 봤는데, 예제를 이해하는 것도 굉장히 힘들었다. 이런걸 어떻게 풀지?
D (D5, solved by qjatn0120) : 문제를 읽지 않았다.
E (G2, solved by slah007) : 문제를 읽지 않았다.
F (G2, solved by leo020630) : 각 사람에 대해 오른쪽에서의 최댓값과 왼쪽 집합에서 이분 탐색을 할 수 있으면 된다. 따라서 set을 쓰는 스위핑으로 가능하다.
G (G1, solved by slah007) :문제를 읽긴 했는데 어지러워서 바로 런했다.
H (G3, solved by leo020630) : 제한이 친절하기 때문에 이분 매칭을 쓰지 않고 그리디하게 매칭해줄 수 있다. \(O(NlogN)\)에도 가능할 것 같긴 한데, \(O(N^2)\)으로 짜도 잘 돈다.
I (P2, solved by slah007) : 제한을 통해 Bit DP임을 유추할 수 있다. 잘 해주면 된다고 한다.
J (B1, solved by leo020630) : 그냥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쓴 후 잘 판별해주면 된다.
K (P4, Not solved) : 삼각형으로 되지 않을까? 라는 생각을 잠깐 한 후 버렸었는데, 이게 맞는 것 같다. 업솔빙 예정
L (P2, Not solved) : 어지러운 확률 문제이다. 자세히 보진 않았다.
느낀 점
2인에 3시간이긴 하지만 쉬운 플레를 못 풀어서 좀 그랬다. 연습해야지..
'연습 > 000102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21014 팀 연습 (CERC 2018) (0) | 2022.10.18 |
---|---|
221003 팀 연습 (2022 KAIST ICPC Mock Competition) (0) | 2022.10.05 |
220712 팀 연습 (CERC 2019) (0) | 2022.07.13 |
220701 팀 연습 (SUAPC 2021s) (0) | 2022.07.02 |
220624 팀 연습 (SUAPC 2021w) (0) | 2022.06.25 |